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히츠지분가쿠
- 버섯제국
- 슈게이즈
- 탑스터
- 멘헤라음악
- 핑크화면
- 얼터락
- 멘헤라노래
- 맥북 핑크화면
- 번역
- 키노코테이코쿠
- 東京恋慕
- 일본영화
- 멘헤라
- 夜鷹
- 고양이는도망갔다
- 영화
- 猫は逃げた
- Mongoose time out
- 락
- 일본워킹홀리데이
- 멘헤락
- 가사
- 일본밴드
- 동경연모
- 멘헤라가사
- 양문학
- 일렉기타
- 羊文学
- 도쿄워홀
- Today
- Total
목록끄적끄적/영화 (5)
다락방잡동사니

시놉시스(스포일러) 더보기 각자 애인이 있는 이혼 예정인 히로시게와 아코 부부. 두 사람은 아이는 없지만 칸타라는 이름의 고양이가 있다. 재산분할, 위자료, 모든 것을 정하고 이혼 서류를 쓴 두 사람은 칸타를 누가 데려가느냐를 정하지 못한다. 그러던 어느 날 고양이 칸타가 사라진다. 사실 고양이를 데려간 것은 남편의 애인 마미코였다. 그녀는 두사람이 이혼하지 않는 것은 고양이 때문이라고 생각했고, 고양이가 사라지면 두 사람이 이혼할 것이라고 생각해 고양이를 훔친 것이었다. 마미코와 아코의 애인 마츠야마가 서로 마주치고, 불륜 사진을 회사에 보낼 거라는 마미코의 협박에 두 사람은 공범자가 되어 칸타를 숨긴다. 하지만 얼마 안가 마츠야마는 마츠야마대로 그 사실을 고백해버리고, 마미코는 마미코대로 고양이를 납..
시오리랑 본 7번째 영화. 솔직히 스크랩 헤븐을 기대하고 골랐지만 매우매우 기대 미만이었다. 우선 배우들의 연기가 가장 눈에 거슬렸다. 동작 하나하나가 매우 과장되어 있고 그리고 두번째로는 너무나 클리셰적인 위기가 눈에 거슬렸다. 약점을 잡고 전처에게 돌아온 전남편. 아이들을 위해 희생하는 엄마. 아무리 2003년작이라고 해도 이건 좀… 세번째로는 주인공의 성격과 행동의 괴리감이 거슬린다. 주인공은 사람을 두명이나 죽이는데, 거기서 관객들은 이 아이가 사이코패스인가? 하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어림도 없지. 인물들의 과장된 연기와 가족을 너무나 사랑하는 주인공은 감정이 너무나 풍부해 보인다. 그래서 결국 몰입이 깨져버리고 만다.. 나중에 영화가 끝나고 시오리랑 얘기하다 알게 된 바에 의하면 이 영화..
2020 2학기 과제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갑자기 2.5단계로 격상되는 바람에 카페에서 대기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극장 근처 카페에서 수업을 듣고 바로 극장에 가서 영화를 보려던 내 원대한 계획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어쩔 수 없이 몇개의 영화들을 취소하고, 그나마 남은 영화들도 어쩔 수 없이 앞부분의 한두편은 놓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런 아쉬움들 속에서도 처음 가본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영감들을 받을 수 있었고, 내가 진행중인 작업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영화제에서는 극영화보다 단편 다큐멘터리를 중심적으로 보았다. 다큐멘터리 1.버드세이버 보고서 제 1장 버드세이버 보고서는 고속도로의 투명한 방음벽에 부딪혀 죽는 새가 얼마나 많은지, 그 대책인..
을 보다가 문득 든 생각이다. 할리우드 영화를 보면 등장인물이 총으로 누굴 쏴서 죽이는 것에 큰 거부감이 없고 아주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심지어 아이들도 좋아하는 마블 영화에서도 피만 안나온다 뿐이지 총을 잘만 쏘고 다닌다. 하지만 한국영화를 보면 대부분의 경우 '살인'이라는 것이 비교적 무겁게 느껴지는 경향이 있다. 나는 그 이유를 총기규제에서 찾았다. 우리나라는 총기류도 강력하게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총기소지가 허용되는 나라에 비해 사람을 죽이는 것이 힘들다. 또한 우리나라는 범죄 검거율이 매우 높다. 아무래도 작은 땅덩어리에 CCTV가 곳곳에 설치되어 있고, 숨을 곳도 비교적 부족하기 때문이겠지.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이런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남녀를 구분하지 않고) 한국영화의 살인자가 겪게 되는..
도희야 (A Girl At My Door, 2014, 정주리) ※ 스포일러 있음 ※ 폭력. 그리고 관심과 사랑을 갈구하는 이야기 – 주제분석 나는 '도희야'가 주제로 삼은 것은 사회가 소수자에게 가하는 사회적 폭력과 가정내의 폭력에 의해 상처입는 사람의 모습이라고 본다. 이 작품의 가장 큰 테마인 '폭력'은 영남이 주변 사람들에게 동성애자인 사실로 편견에 싸여 차별받는 것과 도희가 용하와 할머니에게 폭력을 당하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자신의 일이 아니면 놀랄만큼이나 무관심해지고 냉정해지는 사회풍조에서 비롯되는 것을 찾아낼 수 있다. 먼저 영남은 동성애자로, 동성연애를 하다 들켜 시골마을로 내려오게 되었는데. 사회, 즉 다수가 일방적인 자신의 잣대로 소수인 동성애자를 판단해 좌천시키는 것은 자신에 관계된..